top of page

강자와 약자, 그리고 우월함

이번 한 학기 동안 철학 시간에 배운 것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니체이다. 니체는 많은 이야기와 비유를 만들었고 그의 생각을 글로 남겼지만 니체의 많은 사상은 “도덕에서의 노예의 반란”을 기반으로 만들어젔다. 내가 철학시간에 배운 것들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도 이와 관련된 이야기 이다.


르상티망의 사전적 의미는 “원한, 증오, 질투 따위의 감정이 되풀이되어 마음속에 쌓인 상태” 이다. 이것은 사람들이 말하는 옳고 그름, 또는 좋고 나쁨에서 강자를 양상 시켜 상대적으로 약한 약자, 또는 패배자의 시기심을 말한다. 니체에 따르면 사람들은 처음부터 도덕적인 가치관을 소유하고 있지 않았다. 그들은 눈에 보이는 것을 기준 삼아 무엇이 맞고 틀린 지 결정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보편과 특수가 발생하고, 보편과 특수는 강자와 약자를 만들었다. 이런 강자와 약자의 탄생은 약자로 하여금 강자에 내한 반감을 발생시키고 반감은 사람들에게 도덕적 가치관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이것이 사람들의 도덕적 선악의 개념의 시작이라 니체는 말한다. 우리는 자칫하면 르상티망과 원한을 같은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원한은 높은 것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 생겨서도 계속 그 우상을 동경한다. 반대로 니체가 이야기하고 있는 르상티망은 내 자신이 패배를 이루어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이상의 가치를 전락시킨다. 따라서 르상티망은 물리적 패배와 그 경험을 한 내가 아닌 상대방을 나쁘게 간주하는 대신 자신을 정당화시킨다. 또한 원한과 르상티망은 열등감을 느끼고 난 후의 행동에서 차이를 보인다. 대게 원한은 복수를 하거나 원한을 가지고 있는 존재의 한을 풀어주려는 등의 행동을 낳는다. 르상티망은 적극적인 행동을 요하기보단 상상 속의 복수를 한다. 즉 반감이나 복수심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단지 스스로를 합리화 시키고 인정하여 나보다 우월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을 되려 손가락질 하게 되는 것이다.


니체의 사상 중 또 하나의 기억에 남는 것은 낙타-사자-초인의 개념이다. <차라투스트는 이렇게 말했다> 에서 니체는 인간의 성장과정을 세 단계로 나눠 설명한다. 광활한 사막 속에서 대부분 무거운 짐을 지고 걸어가고 있는 존재, 그는 낙타이다. 낙타는 다른 사람에게 억눌려 누군가의 주인이 아닌 노예의 역할을 한다. 낙타는 병약한 인간, 전체주의에 짓밟혀 개성을 잃어버린 사람, 혹은 신 또는 절대자나 사람들이 말하는 도덕적 체제에 스스로 복종하며 무릎 꿇는 사람들을 말한다. 사자는 낙타에서 한 단계 더 진화한 것으로 자아를 가진다. 사자는 낙타에게 짐을 지우는 존재로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 지 알고 있다. 즉 낙타를 통해 내가 이득을 얻는 자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의지와 그에 따른 선택에 따라 행동하며 자기가 자기의 주인 된 삶을 산다. 하지만 그들도 낙타에게 의존하지 못하면 살 수 없다. 니체가 추구하는 인간은 이를 넘어선 초인, 즉 어린아이와 같다. 니체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에서 어린아이를 이렇게 표현했다. “어린아이는 순진무구함이며, 망각이며, 새로운 시작이며, 하나의 놀이이며, 스스로 굴러가는 바퀴이며, 최초의 움직임이며, 하나의 신선한 긍정이다.” 즉 니체는 사회가 추구하는 보편에서 벗어나서 자유롭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어린아이를 말한 것이다.


르상티망과 낙타-사자-초인 개념은 니체가 가지고 있는 신에 대한 생각을 잘 나타낸다. 르상티망, 즉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우월함, 예를 들어 돈이 많은 사람, 권력이 센 사람, 혹은 명예를 가진 사람 등은 그렇지 못한 사람의 반감을 산다. 니체는 이런 사람들이 생각하는 좋은 것 혹은 옳은 것에 눌려 낙타가 되지 않기를 바랬다. 니체는 제도종교, 즉 본질을 잃어버리고 종교 또는 공동체라는 이름 아래에서 사람들의 의지가 눌리는 것에 대해 낙타를 이용하여 비판하고자 했을 것이다.


Writer: Grace Jun


게시물: Blog2_Post
bottom of page